AI / DL47 [딥러닝 기초 다지기] 5. Generative Models (2)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12. 13. [딥러닝 기초 다지기] 5. Generative Models (1) Generative Model Generative Model은 많은 데이터 사이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아주 유망한 방식이다. Generative model을 학습하기 위해, 먼저 엄청난 양의 데이터(사진, 문장, 소리 등)를 모으고 이와 비슷한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모델을 학습시킨다. 이 접근법을 관통하는 직관(intuition)을 다룰 때 꼭 나오는 문장이 있다. What I cannot create I do not understand. - Richard Feynman 무슨 뜻일까? 우리가 Generative model로 사용하는 신경망(NN)은 우리가 훈련하는 데이터보다 현저히 적은 파라미터 수를 가져서, 모델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데이터의 본질을 찾아내고 내부화(internalize)한.. 2022. 12. 2. [2기 CS50] 2주차 미션 - C언어 📚 팀미션 (아래 질문 중 택1) ✔︎ 팀미션 수행방법 1. 팀별로 원하는 문제를 소통을 통해 선택! (3문제 다 풀어보면 더 좋습니다 😊) 2. 다 같이 토론을 하면서 답을 찾아보세요. ✔︎ 문제 1 여러분은 기존 오프라인에서 리테일 사업으로 유명한 신선식품 업체에 입사한 개발자 입니다. 최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슈에 따라 기존 오프라인으로 운영하던 리테일 사업을 온라인으로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에게는 기존 오프라인에서 일어나던 일들을 온라인 쇼핑몰로 전환하는 임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성공적으로 첫 임무를 완수하여 팀장님의 신임을 얻고 성취감도 느껴보세요! 이제 입사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간단한 재고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일부를 맡게 되었습니다. 주문이 들어왔을 때 재고량을 적절하게 관.. 2022. 12. 1. [2기 CS50] 1주차 미션 - 컴퓨팅 사고 컴퓨팅 사고력이란 무엇일까요? 컴퓨팅사고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즉, 문제를 분해하고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인데요, 컴퓨터가 가장 잘 한다는 ‘계산(computation)’을 이용해서 말이죠! 컴퓨팅 사고는 크게 4가지의 주요한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분해(Decomposition)입니다. 문제를 나누어 각각의 조각을 확인하거나, 어떻게 문제를 나누면 될 지 생각해내는 과정이죠. 그 다음은 ‘패턴 파악(Pattern Recognition)’ 입니다. 이 과정은 ‘어떠한 예측(통찰)’을 위해 각각의 조각의 유사한 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과정이죠. 세번째는 패턴의 일반화(Pattern Generalization), 즉 추상화(abstraction.. 2022. 12. 1. [SW 코딩 훈련] Express.js와 MongoDB 04. Mongoose 활용하기 Express.js + Mongoose ODM Express.js는 프로젝트 구조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부분에 Mongoose ODM을 위치시키면 좋을지 적절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Mongoose ODM 위치 정하기 일반적으로 models 디렉터리에 Schema와 Model을 같이 위치시킨다. app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시작을 의미하는 부분이므로 해당 부분에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명시하는 mongoose.connect를 위치한다. Mongoose ODM 커넥션 이벤트 Express.js 어플리케이션은 종료되지 않고 동작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데이터베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베이스 연결 관련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코드.. 2022. 11. 30. [SW 코딩 훈련] Express.js와 MongoDB 03. MongoDB와 Mongoose MongoDB 대표적인 NoSQL, Document DB Mongo는 Humongous에서 따온 말로, 엄청나게 큰 DB 라는 의미다. →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좋게 만들어짐 RDB Relational Databas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자료들의 관계를 주요하게 다룬다. 이 관계에서 SQL 질의어를 사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구조화, 정형화해야 한다. RDB의 일반적인 형태는 우리가 사용하는 엑셀과 같은 표(table) 형태로 많이 이루어져 있다. NoSQL Non SQL 또는 Not Only SQL SQL 관계지향적 특징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구조화된 질의어를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로, 자료 간의 관계에만 초점을 두진 않는다. 각각의 자료, 객체의 고유한 의미에도 초점을 둔다. 데이.. 2022. 11. 29. [SW 코딩 훈련] Express.js와 MongoDB 02. REST API REST API REST + API REST 아키텍처를 준수하는 웹 API RESTful API라고 부르기도 한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어떤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함에 있어서 이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알 필요 없이 어떤 것을 요청하면 어떤 것을 돌려준다 하는 하나의 약속이다. 서비스나 프로그램 간에 미리 정해진 기능을 실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약이다. 운영체제 API, 프로그램언어 API, 웹 API 등이 있다.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웹에서 어떤 API의 모습만 봐도 무슨 역할을 하는지를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약속의 약속이다. API를 사용하고 만드는 사람은 제각각이기 때문에, 약속을 정의할.. 2022. 11. 28. [SW 코딩 훈련] Express.js와 MongoDB 01. Express.js의 미들웨어 Middleware 미들웨어는 Express.js 동작의 핵심이다. HTTP 요청과 응답 사이에서 단계별 동작을 수행해주는 함수다. 미들웨어의 결합으로 Express.js가 이루어져 있다고 보면 된다. Express.js의 미들웨어는 HTTP 요청이 들어온 순간부터 시작이 된다. 라우팅을 시작하기도 하고, 자원은 있는지, 오류는 없는지 등을 확인한다. 미들웨어는 HTTP 요청과 응답 객체를 처리하거나, 다음 미들웨어를 연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HTTP 응답이 마무리될 때까지 미들웨어 동작 사이클이 실행된다. 각각의 미들웨어가 역할을 수행해서 그것의 결과가 모여 이루어진 온전한 응답을 반환함으로써 몫을 다한다. Middleware 작성과 사용 req, res, next를 가진 함수를 작성하면 해당 함수.. 2022. 11. 26.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