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8

[SW 코딩 훈련] 핵심 JavaScript 기초 04. DOM과 이벤트 DOM(문서 객체 모델, Document Object Model) 객체 지향 모델로써 구조화된 문서를 표현하는 형식이다. 특히 웹페이지를 기반으로 한 HTML을 구조화하기 좋다. DOM은 XML이나 HTML 문서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 JavaScript는 이 DOM을 다룰 수 있다. DOM은 문서의 구조화된 표현(structured representation)을 제공하여 프로그래밍 언어가 문서 구조, 스타일, 내용 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중에서 HTML DOM은 HTML 문서를 조작하고 접근하는 표준화된 방법이다. JavaScript는 궁극적으로 HTML 문서에서 특정 요소를 조작하거나 접근해야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HTML의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 모른다. 그래서 신원미상의 HTML.. 2022. 11. 21.
[SW 코딩 훈련] 핵심 JavaScript 기초 03. 자바스크립트 제어문 조건문 주어진 조건에 따라 결과값을 출력하는 구문. 조건으로는 비교 연산자 또는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다. if 문 if ( 조건 ) { 수행할 명령 } if ~ else 문 else if 문 여러 개의 조건문을 생성할 때 사용한다. 가장 첫 번째로 true가 나오는 조건의 명령을 수행한다. 중첩 if문 if문 안에 또 다른 if문을 삽입할 때 사용한다. 반복문 for 문 for ( 초기화한 변수값; 조건; 증감 표시) {수행할 명령} while 문 while ( 조건 ) { 수행할 명령 } 조건이 참일 동안 중괄호 안의 코드를 실행한다. do ~ while 문 do { 수행할 명령 } while ( 조건 ) ; while의 조건과 관계 없이, do의 명령을 무조건 실행부터 한다. 자바스크립트 활용 주사위.. 2022. 11. 15.
[8기 Data Science] 3주차 미션 - seaborn 시각화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11. 15.
[8기 Data Science] 2주차 미션 - Pandas 인덱싱과 연산 / Folium 시각화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11. 15.
[SW 코딩 훈련] 핵심 JavaScript 기초 02.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와 연산 프로퍼티와 메서드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나뉘었는데, 프로퍼티는 객체가 가진 성질, 메서드는 객체가 하는 행동이었다. 그런데 비단 객체 자료형에만 의존하는 게 아니라 다른 자료형에도 프로퍼티와 메서드가 존재한다. 연산자 산술 연산자 숫자뿐 아니라 문자열도 산술 연산자 사용 가능하다. 증감 연산자 산술 연산자를 짧게 축약해서 쓰는 표현법이다. ++는 1씩 증가, --는 1씩 감소한다는 의미. ++, --가 변수 앞 또는 뒤에 작성했을 때 차이가 있는데, 출력이 먼저 되는지 연산이 먼저 되는지의 차이다. 비교 연산자 등호 2개는 값을 비교하고, 등호 3개는 값과 자료형을 함께 비교한다. 논리 연산자 and는 &&, or은 || 를 사용한다. 2022. 11. 8.
[SW 코딩 훈련] 핵심 JavaScript 기초 01. 자바스크립트 시작하기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슬라이드 효과, 팝업 효과 등의 기능을 포함한 동적인 웹사이트 제작 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다. HTML과 CSS와 더불어 JS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웹사이트에 동적 효과를 줄 수 있다. HTML이 내용, CSS가 디자인이면 JS는 동작을 담당한다. 이 세 가지가 모여서 하나의 웹사이트를 이룬다. 자바스크립트의 웹브라우저에서의 렌더링뿐만 아니라 여러 기능을 통해 IoT / 하이브리드 앱 / 서버 개발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쓰인다. 하이브리드 앱 : 서로 다른 운영체제인 Android / ios 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앱.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변수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담는 공간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한다. 변수 선언은 데이터를 담을 공간을 생성하는 것이.. 2022. 11. 8.
[딥러닝 기초 다지기] 4-2. Sequential Models - Transformer [주의!] 해당 강의는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Transformer(Attention is All You Need, NIPS, 2017) Transformer 구조는 기본적으로 Sequential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론이다. Sequential한 데이터는 중간에 어떤 경로가 빠지거나, 순서가 뒤바뀌는(permutation) 일이 생기면 모델링하기 어렵다. 이런 일을 해결하기 위해 Transformer가 나타났다. Transformer is the first sequence transduction model based entirely on attention. RNN에서는 하나의 입력이 들어가고 다른 입력이 또 들어가고, 이 때 이전 Recurrent Neuron Network에서 가지고 있던 Cell .. 2022. 11. 2.
[SW 코딩 훈련] 핵심 HTML/CSS 기초 04. 웹 사이트의 레이아웃 박스 모델 박스 모델은 어떠한 요소(content)가 있을 때, 이 컨텐츠를 감싸는 큰 세 가지 축을 의미한다. 겉에서 봤을 때 마치 상자처럼 감쌌다고 해서 박스 모델이라 한다. 컨텐츠의 가장 바깥에 공백을 둘 수 있는데 이를 margin이라 한다. 컨텐츠와 border 사이의 공백을 padding이라 한다. margin은 다른 요소와의 공백이라 볼 수 있다. border는 경계인데 두께에 따라 padding, margin도 달라질 수 있다. margin과 padding의 차이 margin은 border 바깥에, padding은 border 안쪽에 여백을 만든다. border가 항상 기준이 된다. padding은 공간이 여백을 포함한 크기로 변경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padding을 주면 컨텐츠와 b.. 2022. 11. 2.